히브리서 M 7

어느날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난 어느 총명한 학생이, 부활은 과학적 견지에서 볼 때 미신적이라고밖에 믿을 수 없다고 하면서 설명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저 창 밖의 밀밭을 보십시요.
저기에서 자라고 있는 밀이 보이지 않읍니까?
그 씨는 땅에 뿌려지고 죽어서 결국에는 밀이 나옵니다.
이것이 부활입니다.
또 암탉이 알을 품어 껍질이 깨어지고 난 뒤 병아리가 나옵니다.
이것이 죽음과 부활을 가리키지 않읍니까?
이것은 나의 철학적인 생각이 아니고 성경의 가르침입니다."

그가 나에게 그 말씀이 어디에 있느냐고 물었을 때 고린도전서 15장에서 그 씨가 죽고 또 다시 자라나는 것이 부활의 모양이라고 말했음을 일러 주었다.
그날 밤 이 청년은 구원받았으며, 오늘 대만에서 지도적인 동역자이다.

(고전 15:42)
"죽은 자의 부활도 이와 같으니
썩을 것으로 심고 썩지 않을 것으로 다시 살며,
욕된 것으로 심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다시 살며,
약한 것으로 심고 강한 것으로 다시 살며,
육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다시 사나니,

"첫사람 아담은 산 혼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생명주시는 영"이 되었나니"

*생명주시는(살려주는) 영이 부활의 실제이심을 암시한다.

지방교회, 교회 생활
지방교회, 히브리서
지방교회, 라이프스터디 누림
지방교회 - 부활, 실제, 아담, 구원, 교회

히브리서 M 6

왜 하나님은 자기의 형상대로 사람을 지으셨는가?
하나님의 형상을 가지고 하나님을 나타내고,
하나님의 주권을 가지고 하나님을 대표하도록 권위를 부여하셨다.

왜! 하나님은 사람의 형체를 입으셨는가?
죽음의 고난을 받기 위해서였다.
죽음을 맛보기 위해 육신이 필요했으며, 육신이 없다면 우리 죄를 위하여 죽을 다른 방도가 없었을 것이다.

왜! 하나님께서는 사람으로 하여금 땅을 다스리도록 정하셨는가?
바로 하나님께서 그의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한 영역, 곧 범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왕국이 있을 때 권위가 있게 되고 그때 비로소 하나님 자신의 영광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목적은 이 땅을 점령하고 있는 사단의 손길에서 땅을 회복하여, 
이 땅 위에서 주님의 왕국을 세워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것이다.

지방교회, 히브리서
지방교회, 라이프스터디 누림
지방교회, 교회 생활
지방교회 - 회복, 영광, 왕국, 교회, 권위

히브리서 M 5

<이같이 큰 구원>
그리스도께서 과거에 이루어 놓으신 것,
현재 하고 계시는 것,
장차 하실 일들이,이같이 큰 구원에 포함된다.

유대교는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근거로 세워졌고 그것들은 참이었다.
그러나 얼마의 시간이 경과한 후 그것은 낡은 조직, 곧 유대교로 변성한 것이다.
그 조직 안에 있는 자들은 강을 건너야 했다.

우리는 홍해를 건넜지만, 이제는 요단 강을 건너야 한다.
전통적인 낡은성경지식,과거의 체험, 종교적 배경에서, 강을 건너야 한다.

우리가 건너는 강은 우리에게 구원이 되지만 우리가 건너지 않은 모든 강은 휘장이 된다.
우리가 강 저편에 있는 한 우리는 휘장 밖에 있는 것이다.

히브리인은 매일 강을 건너야 한다.
최소한 작은 강 하나만이라도 건너야 한다.
강을 건너 계속 전진하라.
히브리인은 전진하는 자이다.

지방교회, 교회 생활
지방교회, 히브리서
지방교회, 라이프스터디 누림
지방교회 - 히브리인, 전진, 휘장, 교회

+ Recent posts